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돈’으로 본 세계사] 로마의 종말로 무너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3회 작성일schedule 25-05-11 14:27

본문

[‘돈’으로 본 세계사] 로마의 종말로 무너진 시장경제, 이슬람교도가 살려● 중세는 이슬람 통해 하나로 연결된 시대● 1000년 이상 유라시아 핵심 교역로 구실한 실크로드● 이슬람교는 한 손에 코란, 다른 손에 칼 든 무장 세력● 아바스왕조, 군사 팽창주의 대신 상업 발전 지향● 인도양 항로 개발, ‘이슬람 대항해 시대’ 개막● 인도 숫자 ‘아라비아’도 이슬람 통해 세계로 전파610년 메카 상인 무함마드가 창시한 이슬람교는 급속도로 세를 확장했다. 위키피디아고대 시대에도 무역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땅이 가장 중요한 시대였기에 국가 간 영토 전쟁이 계속됐다. 영토 전쟁은 하나의 경제행위였고, 그만큼 교역과 약탈은 경계가 모호했다. 화폐를 근간으로 한 시장 세력은 군대를 앞세운 패권 세력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무역을 업으로 삼았던 페니키아는 국가를 형성하지 못했고, 카르타고(현재의 튀니지 일대에 자리했던 페니키아인 계열의 고대 국가)는 로마에 의해 멸망했다.로마는 중동의 파르티아 제국을 통해 중국의 한나라와 교역했다. 초원길인 실크로드를 통해서였다. 여기에는 소그드(Sogd)인의 역할이 컸다.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사마르칸트 일대)를 근거지로 한 이란계 스키타이 유목민으로, 유라시아를 횡단하며 실크로드 교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중국에서 건너온 대표적 상품은 비단이었고, 중국으로 건너간 상품은 황금·포도주·유리 제품 등이었다. 실크로드, 즉 비단길은 이때부터 1000년 이상 유라시아의 가장 중요한 핵심 교역로가 됐다.중세 세계사 중심은 유럽 아닌 중동하지만 고대 내내 시장 세력은 패권 질서에 압도당했다. 화폐의 타락으로 시장경제 질서가 붕괴하자 잇달아 패권 질서도 무너졌다. 이와 함께 고대도 막을 내렸다. 고대 로마가 종말을 고하면서 무너진 시장경제 질서는 중세에 어떻게 다시 살아났을까. 중세에 유럽 밖의 중동과 아시아에서는 대외교역이 일어나고 있었을까. 이러한 유럽 밖의 경제활동은 유럽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 보자.중세 유럽을 흔히 암흑의 시대라고 말한다. 적어도 경제·문화적 측면에서는 그랬다. 신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시대였다. 게르만족의 남하, 이슬람 세력과 마자르[‘돈’으로 본 세계사] 로마의 종말로 무너진 시장경제, 이슬람교도가 살려● 중세는 이슬람 통해 하나로 연결된 시대● 1000년 이상 유라시아 핵심 교역로 구실한 실크로드● 이슬람교는 한 손에 코란, 다른 손에 칼 든 무장 세력● 아바스왕조, 군사 팽창주의 대신 상업 발전 지향● 인도양 항로 개발, ‘이슬람 대항해 시대’ 개막● 인도 숫자 ‘아라비아’도 이슬람 통해 세계로 전파610년 메카 상인 무함마드가 창시한 이슬람교는 급속도로 세를 확장했다. 위키피디아고대 시대에도 무역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땅이 가장 중요한 시대였기에 국가 간 영토 전쟁이 계속됐다. 영토 전쟁은 하나의 경제행위였고, 그만큼 교역과 약탈은 경계가 모호했다. 화폐를 근간으로 한 시장 세력은 군대를 앞세운 패권 세력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무역을 업으로 삼았던 페니키아는 국가를 형성하지 못했고, 카르타고(현재의 튀니지 일대에 자리했던 페니키아인 계열의 고대 국가)는 로마에 의해 멸망했다.로마는 중동의 파르티아 제국을 통해 중국의 한나라와 교역했다. 초원길인 실크로드를 통해서였다. 여기에는 소그드(Sogd)인의 역할이 컸다.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사마르칸트 일대)를 근거지로 한 이란계 스키타이 유목민으로, 유라시아를 횡단하며 실크로드 교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중국에서 건너온 대표적 상품은 비단이었고, 중국으로 건너간 상품은 황금·포도주·유리 제품 등이었다. 실크로드, 즉 비단길은 이때부터 1000년 이상 유라시아의 가장 중요한 핵심 교역로가 됐다.중세 세계사 중심은 유럽 아닌 중동하지만 고대 내내 시장 세력은 패권 질서에 압도당했다. 화폐의 타락으로 시장경제 질서가 붕괴하자 잇달아 패권 질서도 무너졌다. 이와 함께 고대도 막을 내렸다. 고대 로마가 종말을 고하면서 무너진 시장경제 질서는 중세에 어떻게 다시 살아났을까. 중세에 유럽 밖의 중동과 아시아에서는 대외교역이 일어나고 있었을까. 이러한 유럽 밖의 경제활동은 유럽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 보자.중세 유럽을 흔히 암흑의 시대라고 말한다. 적어도 경제·문화적 측면에서는 그랬다. 신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시대였다. 게르만족의 남하, 이슬람 세력과 마자르족 등 외세의 침략으로 백성들은 자기 자신을 지키기에도 버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